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6 | |
7 | 8 | 9 | 10 | 11 | 12 | 13 |
14 | 15 | 16 | 17 | 18 | 19 | 20 |
21 | 22 | 23 | 24 | 25 | 26 | 27 |
28 | 29 | 30 |
- coroutinescope
- app-distribution
- Next Challenge
- coroutine
- hotStream
- Kotlin
- Algorithm
- monotone stack
- ServerDrivenUI
- 백준
- KAKAO
- cancellationException
- Product Flavor
- flowon
- ShapeableImageView
- 안드로이드
- conflate
- 릴리즈 키해시
- collectLatest
- java
- 백준2309
- Advanced LCA
- Flow
- TOSS 과제
- Android
- SDUI
- coldStream
- google play console
- coroutinecontext
- withContext
- Today
- Total
목록Coroutine (13)
루피도 코딩한다
Coroutine Builder : 코루틴을 만드는 함수 1. runBlocking runBloking으로 인해 만들어진 코루틴과, 그 내부에 있는 코로틴이 모두 완료 될 때까지 스레드 블락 프로그램 최초 진입 지점인 메인함수, 혹은 테스트 코드 시작 시에만 사용 권장 반환값 없음 2. launch launch의 반환 값은 Job 객체이다 Job 객체를 활용해 코루틴을 제어할 수 있다 start() : launch{} 블록에서 CoroutineStart.LAZY 옵션을 사용 후 start()를 통해 동작 cancel() : 코루틴 취소 join() : 코루틴이 끝날때 까지 대기 fun main(): Unit = runBlocking { val job1 = launch { delay(1_000) print..
CS에서의 기본 개념 프로세스(Process) 컴퓨터에서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 각각 독립된 메모리 영역을 가짐 스레드(Thread) 프로세스보다 작은 개념으로 프로세스에 소속되어 여러 코드를 동시에 실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. 스레드는 프로세스가 있어야만 존재할 수 있다 동일한 프로세스 내부에 존재하기에 메모리 영역은 공유하며, 독립된 스택 영역을 가진다 코루틴(Coroutine) 스레드보다 작은 개념 코루틴은 스레드에서 실행됨 프로세스의 메모리 구조 Code : 실행할 프로그램의 코드가 저장되는 영역 Data : Static(정적) 변수나 Global(전역) 변수가 저장되는 영역 Heap : 동적 메모리 영역 Stack : 지역변수, 매개 변수, 반환 값 등 일시적은 데이터들이 저장되는 영역. LIFO..
개념 Routine : 프로그래밍에서 루틴은 특정한 일을 처리하기 위한 일련의 명령이다. Sub-Routine : 함수 안에 함수가 있을 경우, 안쪽의 함수를 Sub-Routine이라 한다. Co-Routine co : 함께 수행되는 routine : 함수(Routine) 루틴이랑 코루틴 그래서 뭐가 다른데? 아래와 같이 main() 함수와 test()라는 함수가 있다고 해보자. 루틴 예시와 설명 // Routine, Sub-Routine ver. // START, test, END 순으로 출력 fun main(){ println("START") test() println("END") } fun test(){ println("test") }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동작 순서이다. 아래 이미지에서 Routin..